여행스케치

휴식과 힐링이 가득한 곳 어디없나? 경북농촌으로 오이소~

농촌여행콘텐츠

폐교의 아픔이 희망의 새싹 되어

의성군 안계면 6,065

달리 뚜렷한 기교는 없으나 예스럽고 소박하고 정갈한 멋이 있는 고장입니다.

경쟁이 사라진 시공간, 사랑만이 가득한 세상만이 존재한답니다. 인간의 영원한 구원에 대한 바람이 아닙니다. 작은 희망 한 자락 있다면 자연의 끊임없는 움직임에 동참하면서 완성을 향한 부단한 움직임이 즐거울 뿐입니다.

교촌마을 소개

마을지도.jpg
우리 교촌마을은 지도상으로 보았을 때 경상북도의 중심지인 의성군 안계면에 있습니다. 안계라는 명칭은 면내 서북쪽에 있던 안계역(安溪驛)과 안계원(安溪院)에서 따온 것이라고 합니다. 안계면 전체를 보았을 때 마을 북쪽에 조산(祖山)인 곤지봉이 솟아 있고, 북동쪽에는 골두산, 동쪽에는 해망산이 안계면을 크게 감싸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100m 이하의 구릉지이며, 서남쪽으로는 위천을 끼고 광활한 안계평야가 있어 풍요의 고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안계평야는 금호평야, 안강평야와 더불어 경상북도 3대 평야로 손꼽히는 곡창 지대입니다. 이처럼 교촌마을은 천혜의 입지 조건과 대구, 안동, 구미에서 1시간, 중앙고속도로 의성IC에서 15분 거리의 접근성을 가진 전형적인 농촌 마을입니다. 마을 전체가 내려다보이는 자리에 비안향교가 있습니다. 교촌이라는 마을 이름은 조선 영조 시대 때 비안현에 있던 비안향교가 이곳으로 옮겨지면서 유래가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교촌, 새마을, 선돌 3개 부락을 통합하여 교촌동이라 하였으며 최근에는 교촌리라 부른답니다.

교촌마을 체험관광

폐교에 체험장을 만든 터라 넓은 운동장을 앞마당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계평야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쌀을 이용하여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꾸몄습니다.체험 종류에는 전통 떡 만들기, 시골밥상, 트랙터마차, 각종 농산물 수확 체험, 뗏목 타기, 물고기 잡기, 떡메치기, 전통 놀이, 호패 만들기, 도자기 체험, 천연염색, 계절 농사 체험이 있습니다.

주요시설로 100여 명이 동시에 입장할 수 있는 체험관 2개가 있고 숙박시설 8개에 총 130여 명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식당 1개소(130명), 농산물 체험장 2개소, 강당, 수영장, 도자기 체험장이 있습니다.

떡메치기 체험

떡메 치기 (2).JPG
안계평야에서 생산된 하얀 쌀로 떡을 만드는 떡메치기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전통음식에 대한 소중함을 알게 되고 옛날부터 내려오던 즐거운 놀이문화를 알아가는 맛도 충분하답니다. 체험객들은 마을 소개와 함께 떡의 종류, 현미와 햅쌀, 찹쌀의 구분과 설명을 듣고 떡메치기에 사용되는 재료와 도구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떡판과 떡메, 물대야, 콩고물과 접시가 있습니다. 떡판에는 잘 쪄진 고두밥(찹쌀+맵쌀)이 놓여 있습니다.

먼저 떡메치기 방법과 요령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입니다. 한 사람이 떡메를 잡으면 다음 사람이 지정 위치에 대기합니다. 떡메를 들고 찹쌀밥을 향해 내리칩니다. 그리고는 떡판에 떡메를 문질러 주고 떡메를 옆에 놓인 물대야에 담근 후 물러서면 다음 사람이 떡메를 이어받아 칩니다. 그다음 사람이 대기해 있다가 이어받아 떡메를 치는, 이와 같은 순서로 이어집니다
떡메치기 (1).JPG
단체일 때는 반별 및 조별로 원을 그리며 떡메치기가 이어집니다. 떡이 차지게 되면 길게 돌돌 말아 한입으로 먹기 좋게 송송 썰어 콩고물을 묻혀 먹어봅니다. 쟁반에 떡과 콩고물을 나누어 주면 제각각 고물을 묻혀 잘 먹습니다. 입가에 콩고물이 묻는 것쯤은 즐거운 애교라고 합니다. 음료수도 함께 드립니다.

떡메를 친 소감은 저마다 다르지만 이구동성으로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합니다. 근육의 힘으로만 치는 게 아니라 요령이 필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인생도 그렇게 무작정 밀어붙여서 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 참가비 (1인) 5,000원~10,000원(15인 이상)
  • 운영시기 연중 가능
  • 체험내용 떡메치고 인절미 만들어 맛보기

호패 만들기

호패만들기 (2).JPG
호패란 조선 시대 당시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발급한 패, 즉 현재의 주민등록증 같은 것이었습니다. 집집이 호구를 파악하고, 떠돌이 유민을 방지하면서, 공공부역(賦役)의 조달과 신분 질서의 확립, 그리고 향촌의 안정을 유지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호패의 재료도 신분에 따라 천차만별이었습니다. 상아로 만든 호패, 동물의 뿔로 만든 호패가 있었습니다. 이것에 착안하여 호패 만드는 체험을 통해 옛날 신분 질서를 이해하고, 나만의 호패를 만들어 내 꿈을 싣고, 내 미래의 희망을 아름답게 꿈꾸는 시간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체험객에게 호패의 용도, 목적, 종류, 유래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준 후 과정을 시작합니다.

원목(편목), 즉 나무를 가로로 켜서 둥근 모양의 호패 재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나무 면을 먼저 굵은 사포로 평평하게 다듬어줍니다. 다음으로 중간 굵기 사포를 이용해 재차 손질한 후 아주 가는 사포로 면을 매끈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만의 특색 있는 디자인을 해봅니다. 물감과 색연필, 유성펜을 이용해도 좋습니다. 직책과 직업, 이름과 주소, 나의 희망 등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꾸며봅니다. 그다음에는 구슬을 꿴 끈을 만들고 호패 위에 구멍을 뚫어 끈을 끼워 완성합니다. 자신들이 만든 호패를 목에 걸고 뛰어다니는 천진난만한 아이들을 보면 우리나라의 미래가 무척 밝다는 생각입니다.
  • 참가비 (1인) 5,000~10,000원(5인 이상)
  • 운영시기 연중 가능
  • 체험내용 내 꿈과 장래희망을 호패에 담기

도자기 만들기

도자기만들기 (2).JPG
마을에는 도자기 전문가가 있어 도자기 만들기 체험이 인기 있습니다. 직접 흙을 반죽하고, 공기를 빼고, 나만의 개성 있는 도자기를 만들어 구워 갈 수 있습니다. 초벌구이 후 색을 입히고 재벌구이를 해야 하는 까닭에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마을에서 1박을 하면서 체험할 수도 있지만, 도자기만 만들고 집에 가시면 나중에 초벌과 재벌구이를 하고 잘 갈무리해서 보내드린답니다.

만들어 놓은 종류가 그야말로 가지각색입니다. 컵에서부터, 꽃병, 큰 접시, 밥그릇, 장식용 조형물 등으로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아름답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채색된 도자기가 빛을 반짝이며 격조를 더하는 작품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 참가비 (1인) 10,000원~30,000원(5인 이상)
  • 운영시기 연중 가능
  • 체험내용 나만의 도자기 만들기, 치매 예방, 지능개발에 목적이 있음

농산물 수확

농산물수확 (2).JPG
우리 마을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안계평야에서 해마다 풍부한 농산물이 생산됩니다. 그래서 농산물을 수확해 맛보고 가져갈 수 있는 체험을 만들었습니다. 특산물로는 고구마가 있습니다. 그리고 고추와 옥수수, 여러 과일도 풍성하게 나옵니다. 과수원이나 밭에 들어가 직접 수확하는 즐거움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 참가비 (1인) 5,000원~10,000원(5인 이상)
  • 운영시기 6월~11월
  • 체험내용 우리 소중한 먹거리에 대한 인식

천연 염색

감물, 양파, 치자 등을 활용해 손수건이나 스카프, 티셔츠에 나만의 디자인으로 염색할 수 있습니다. 양파는 껍질을 삶은 물에 백반을 풀어 물이 들게 합니다. 그 외에 자연 재료를 이용한 염색도 아주 매력이 있답니다. 내가 염색한 스카프가 상상 이상으로 멋지게 완성되자 환호하는 아이들이 대견하고 싱그럽기만 합니다.
  • 참가비 (1인) 10,000원~30,000원(5인 이상)
  • 운영시기 연중 가능
  • 체험내용 양파 등 천연자원을 이용한 염색

우리 마을 건강 먹거리

교촌마을에서는 제철에 나는 농산물을 이용한 시골밥상을 차려냅니다. 산채비빔밥, 손두부 한상, 토종닭백숙도 미리 알려주시면 가능하답니다.

관광

의(義)와 예(禮)의 고장, 몸과 마음의 여유를 찾는 힐링 여행지 의성입니다. 의성은 경북의 중앙에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며 접근성이 좋습니다. 고대 진한의 부족국가 조문국이 위치했던 곳으로 금성산 고분군을 비롯하여 조문국의 유적과 유물이 많이 있습니다. 5월 중하순 고분군 주위에 피는 작약꽃은 장관입니다. 또한 금성산, 청화산, 비봉산, 빙계계곡 등 여러 산과 계곡이 있어 여름철 피서에도 좋은 곳입니다. 의성을 대표하는 천년고찰 고운사는 가볍게 산책하기에 적당하고 중생대 백악기 공룡발자국이 있는 금성면 제오리 공룡발자국은 아이들과 함께하는 자연학습에 최적입니다.

조문국박물관

조문국박물관.jpg
조문국박물관은 의성의 역사와 유물을 체계적으로 조사, 수집, 전시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건립된 박물관입니다. 건물은 상설전시관, 기획전시실, 어린이 체험실, 야외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층 전시실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 청동기시대 등 인류의 기원과 순장 문화에 대해 전시하고 있으며 조문국의 역사와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조문국은 고대 의성지역 초기국가 형태의 나라입니다. 의성인이 입었던 의복을 입어보고 사진 찍을 수 있는 체험공간도 있습니다. 옆 건물 민속유물전시관에는 의성의 농업과 공업, 민속놀이에 대한 유물과 설명이 곁들여 있습니다. 어린이들을 위한 상상 놀이터와 물놀이장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 대표 체험 전시관관람, 가족문화체험, 물놀이
  • 주소 경북 의성군 의성읍 군청길 31
  • 전화 054-830-6909

빙계계곡

의성빙계계곡.jpg
얼음처럼 차가운 바람이 산다 해서 빙산입니다. 빙산이 있는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는 여름에도 개울에 얼음이 언다는 마을입니다. 그 가운데를 흐르는 천이 쌍계천입니다. 쌍계천 상류부터 빙산을 감돌아 흐르는 천을 특별히 빙계라 합니다. 빙산과 빙혈의 골짜기가 바로 빙계계곡입니다. 삼복 때면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에는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로운 계곡입니다. 마을 안 돌담길을 지나 빙산을 오르면 빙혈이 나옵니다. 빙혈에서 100m 거리에 풍혈이 있습니다. 풍혈과 빙혈에서는 한여름에도 영하 4도의 겨울바람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여름 무더위를 한 번에 날려주는 계곡입니다.
  • 대표 체험 물놀이
  • 주소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896
  • 전화 054-830-6952

연계관광지 코스

조문국박물관 → 빙계계곡 → 낙단보

숙박

펜션 1동(독채 펜션, 25인), 소규모 가족 단위 가능, 기타 장류 체험장과 정자가 있습니다.
주소 경북 의성군 안계면 교화길 59 홈페이지 http://cafe.daum.net/taeyangmaeul 문의 054-862-7755 / 010-9707-9696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